성세아이들병원의 소아신경발달센터입니다.
- 읽기, 쓰기 능력은 학습의 기반이 되는 능력입니다.
- 만 5세~2학년은 기초 해독 및 철자 쓰기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점의 조기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.
- 읽기, 쓰기 능력은 언어/말 능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, 언어학습클리닉에서는 아이들의 전반적인 문해 능력을 다룹니다.
- 한글 활동에 흥미가 없고 거부를 해요.
- 받침 없는 낱말을 읽기가 어려워요(예: 바지, 나비).
- 자신의 이름을 쓸 때 따라 써야 하거나, 잘못 쓸 때도 있어요.
- 단어를 읽을 때 자주 틀리고, 추측해서 읽기도 해요(예: 장소->”차소”, 조개->”소개”).
- 책을 읽을 때 한 글자씩 느리게 읽거나 단어를 나누어 읽어요.
- 따라 쓰기를 주로 하거나 간단한 맞춤법 오류가 많아요.
- 글을 읽고 문제를 풀거나 숙제할 때 시간이 많이 부족해요.
- 책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요.
- 맞춤법 오류와 띄어쓰기 오류를 빈번하게 보여요(예: 입습니다->임씀니다).
한림대학교 언어병리학 박사
문해전문 언어재활사
TESOL Certificate
현) 한림대학교 청각언어연구소 연구원
현) 강원도 교육청 난독학생 문해력 향상 지원 사업 문해전문 언어재활사(2019년~2025년)
전) 강원도 교육청 유아언어발달검사 위탁 용역 사업 언어재활사(2023년~2024년)
한림대학교 언어병리학 박사 수료
문해전문 언어재활사
언어재활사 1급
현) 강원도 교육청 난독학생 문해력 향상 지원 사업 문해전문 언어재활사(2020년~2025년)
전) 강원도 교육청 유아언어발달검사 위탁 용역 사업 언어재활사(2023년~2024년)
전) 2024 강원특별자치도 교육청 유아언어발달 검사 및 치료지원 사업 수퍼바이저 (2024년)
전)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겸임교수 (2018년~2019년)